오늘은 동자꽃 이야기를 해볼까요....
지난 16일 만산 산행때 안젤라님이 담으신 사진을 빌려왔읍니다
-동자꽃의 슬픈 전설-
먼 옛날 강원도 어느 깊은 산골짜기 암자에 스님과 어린 동자가 함께 살고 있었다.
어린 동자는 스님이 마을에 갔을 때 부모를 잃고
헤매는 것을 불쌍히 여겨 데려온 소년이었다.
강원지방은 겨울이 일찍 찿아온다.
그래서 가을 추수도 다른 곳보다 훨씬 빠르다.
동짓달 무렵, 겨울 채비가 덜 된 것을 걱정한 스님은
겨울 준비를 하기 위해 어린 동자를 암자에 홀로 남겨두고 마을로 내려갔다
. 단숨에 마을에 갔다 온다고 동자에게 이르고 나섰지만
험한 산간 지역이라 몇 십리를 가야 겨우 인가를 볼 수 있었다
.스님은 동자가 있는 암자로 빨리 가기 위해
서둘러 준비를 했지만 겨울 하루 해는 너무 짧기만 했다.
그런데 스님이 산을 내려온 뒤,
산에는 많은 눈이 내리기 시작해 저녁 무렵에 이르러서는 눈이 한길이나 쌓이고 말았다.
이 사실을 몰랐던 스님은 눈에 대한 대비가 전혀 없었으므로
도저히 암자로 다시 돌아갈 수 없는 형편이 되고 말았다.
스님은 오직 하늘만 바라볼 뿐이었다.
그러나 암자의 어린 동자는 너무나 어렸기 때문에
눈이 많이 내려 스님이 못 온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 어린 동자는 추위와 배고픔을 참으며
마을로 내려간 스님이 이제나저제나 돌아오기만를 기다릴 뿐이었다.
이렇게 동자는 며칠을 스님이
내려간 언덕만 바라보다 마침내 앉은 채로 얼어 죽고 말았다.
드디어 추운 겨울이 지나가고 쌓였던 눈이 녹기 시작했을 무렵
스님은 서둘러 암자를 향해 길을 떠났다
. 암자에 도착한 스님은 마당 끝 언덕에 오뚝하게 앉아서 죽은 동자를 발견하였다.
너무나 큰 슬픔과 절망이 몰려왔으나
스님은 마음을 가다듬고 죽은 동자를 바로 그 자리에 곱게 묻어 주었다.
그 이듬해 봄이 되자 동자의 무덤가에는 이름 모를 풀들이 자라났으며,
한 여름이 되니 꼭 동자의 얼굴같은 붉은 빛의 꽃들이
마을로 가는 길을 향해 피어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죽은 동자를 생각해 이꽃을 '동자꽃'이라 부르게 되었답니다.
동자꽃의 꽃말은 "기다림" 입니다.
동자꽃은 석죽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나 울릉도 같은 섬 지방을
제외하고는 전국의 산에서 만날 가능성이 있는 여름꽃입니다.
보통 무릎 높이 정도 자라므로 숲속의 고만고만한
다른 풀들과 함께 잘어우러집니다.
동자꽃은 전추라화(剪秋羅花),
천열전추라(淺裂剪秋羅) 등의 한자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학명은 리크니스 코그나타(Lychnis cognata),
이 집안의 이름이 붓꽃이라는 뜻의
희랍어 리크노스(lychnos)에서 유래한 것을 보면
꽃이 그만큼 아름답기 때문으로 추측할 수 있구요
영어로는 ‘코리안 리크니스(Korean lychnis)’로 부릅니다.
2008년 7월 20일 지리산 돼지평전
영화 죽도록 사랑해서 OST
'야생화및 들풀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봄 야생화 (0) | 2019.03.19 |
---|---|
대관령 야생화 (0) | 2018.08.13 |
지리산야생화 (0) | 2014.07.18 |
생계령 (0) | 2014.06.13 |
[스크랩] 정금나무열매 효능 (0) | 2014.02.15 |